PR CENTER
[서울경제] '개방형 혁신으로 지속 성장'···이노비즈협회, '혁신성장 포럼’ 개최
중소벤처기업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네트워크 사업 일환으로 이노비즈협회가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이노비즈 혁신 성장 포럼'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이노비즈제도 도입 20주년을 맞아 ‘디지털전환과 개방형 혁신, 미래 모습과 과제’를 주제로 디지털전환 시대의 혁신 생태계를 조망하고, 개방형 혁신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마련된 자리인데요. 건국대 임채성 교수를 좌장으로 진행한 패널 토론에서 저희 (주)카네비컴 정종택 대표가 초빙되어 '디지털전환 시대, 대한민국 혁신성장을 위한 방안과 혁신형 중소기업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과제'에 관해 의견을 공유했습니다. 출처 : 서울경제 https://bit.ly/2YMnSj3 ※ 저작권 보호법에 따라 기사 전문을 업로드하지않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링크 참조 부탁드립니다.…
2021.11.16
[머니투데이] 카네비컴, 라이다 융합한 해상용 ‘지능형 어라운드뷰’ 공동 개발
자동차 전장품 개발 전문 기업 카네비컴과 씨드로닉스는 지난 10월 25일 첨단통합센서기반 지능형 어라운드뷰를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카네비컴이 자체 개발한 라이다(LiDAR) 센서를 씨드로닉스가 개발 중인 비전 센서 및 딥러닝 기반의 어라운드뷰 시스템에 융합시키기 위한 공동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선박용 어라운드뷰는 선상에 고성능 카메라를 설치하고 360도 실시간 영상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마치 하나의 영상인 것처럼 보여준다. 이를 통해 선박 주변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승무원이나 여객의 추락과 불법 침입자의 감지, 해적의 침입을 방지하는 등 선박 안전을 높일 수 있다. ※ 저작권 보호법에 따라 기사 전문을 업로드하지않습니다. 자세한 보도기사 내용은 해당 링크주소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https://bit.ly/31ubTYn 출처-MTN…
2021.11.15
[뉴시스] 카네비컴, 9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정종택 대표 수상 '쾌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2021년 9월 수상자로 박종철 삼성전자 마스터와 정종택 카네비컴 대표이사를 선정했다고 13일 밝혔다.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은 산업현장의 기술혁신을 장려하고 기술자를 우대하는 풍토를 조성하기 위해 매월 대기업과 중소기업 엔지니어를 각 1명씩 선정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원을 수여한다. 대기업 수상자인 박종철 삼성전자 마스터는 세계 최고 수준의 D램 트랜지스터 개발, 28나노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극자외선 공정적용 7나노 제품 등 반도체 관련 기술개발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에 이름을 올렸다. 출처 : NEWSIS(https://newsis.com/) https://newsis.com/view/?id=NISX20210913_0001581307&cID=13001&pID=13000 ※ 저작권 보호법에 따라 기사 전문을 업로드하지않습니다. 자세한 보도기사 내용은 해당 링크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2021.09.15
[전자신문] 카네비컴, DCU 설계 기술 확보...“2022년 車 ADAS 시장 진출
https://www.etnews.com/20210325000178 자동차 전장부품 개발기업 카네비컴이 한국자동차연구원으로부터 자율주행 통합제어장치(DCU) 설계 기술을 이전받았다. 이를 기반으로 2022년 차량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개발 중인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가 센서 퓨전 기술을 통해 시너지를 낼 수 있게 됐다. 카네비컴은 한국자동차연구원과 자율주행 DCU 개발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했다고 25일 밝혔다. 카네비컴은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등 센서를 개발해왔으나 DCU 기술이 없었다. 이번 기술이전을 계기로 전담 팀을 구성해 기술력 제고에 나선다. 포트폴리오 확대에 따라 개발 인력도 지속 충원할 계획이다. DCU는 자율주행 시스템에서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전자제어장치다. 고성능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를 사용해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등 각종 센서가 취득한 정보와 HD맵, 차량 대 사물(V2X) 통신 등 도로 인프라 정보를 융합해 적절한 판단을 내린다. 저전력, 고신뢰성 설계 기술이 핵심이다. 출처 : 전자신문(www.etnews.com) ※ 저작권 보호법에 따라 기사 전문을 업로드하지않습니다. 자세한 보도기사 내용은 상단의 링크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2021.08.23
[IT비즈뉴스] 카네비컴, 한국토요타와 블랙박스 공급계약 체결
https://www.itbiz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9048 카네비컴의 블랙박스가 토요타 고급 브랜드인 렉서스 차량에 적용된다. 전장부품기업 카네비컴은 한국토요타와 순정 블랙박스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카네비컴이 공급하는 순정 블랙박스는 까다로운 토요타 본사 신뢰성 시험을 통과한 모델로 렉서스 차량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 블랙박스는 소니의 이미지센서(Exmor R STARVIS)를 적용한 전후방 2채널 모델로 주행 녹화에서 주차 중 녹화를 지원한다. 보증기간의 경우 차량과 동일한 최장 4년이 적용된다. 출처 : IT비즈뉴스(https://www.itbiznews.com) ※ 저작권 보호법에 따라 기사 전문을 업로드하지않습니다. 자세한 보도기사 내용은 상단의 링크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2021.08.23
[MTN] 카네비컴, 범용 라이다 센서 신제품 양산 개시…국내 기술
https://news.mtn.co.kr/newscenter/news_viewer.mtn?gidx=2021050517074344375 자동차 전장부품 개발 기업 ㈜카네비컴(대표 정종택)이 산업분야에 범용으로 사용 가능한 라이다 센서(VL-R2) 개발을 마치고 5월부터 본격적으로 양산을 개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번에 양산을 시작하는 라이다 센서의 명칭은 ’VL-R2’, 수평 120도, 수직 3도의 범위를 최대 100m까지 주변의 지형지물을 감지할 수 있으며 크기는102 x 65 x 57 mm(폭 X 깊이 X 높이)이다. 주요 부품의 국산화를 기반으로 개발부터 양산까지 모두 국내 기술로 이루어졌으며, 기존 양산 모델인VL-S3에 비해 크기와 성능 면에서 크게 향상된 것으로 알려졌다. 카네비컴의 라이다는 국가 공인KC 안전 인증을 획득한데 이어 유럽 CE인증을 획득했다. 방수·방진·온도 특성 등 내구성이 뛰어나 실내·외를 가리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레이저 제품의 안전 인증인 Eye-safety class 1 인증을 획득하여 인체(사람의 눈)에 대한 안정성도 확보하였으며 한국철도표준규격인KRS0068인증도 5월말까지 완료 예정이다. 출처 : 머니투데이방송(http://www.mtn.co.kr) ※ 저작권 보호법에 따라 기사 전문을 업로드하지않습니다. 자세한 보도기사 내용은 상단의 링크주소를 클릭하셔서 확인 부탁드리겠습니다.…
2021.08.23

검색